카테고리 없음

축의금 봉투 쓰는법 부의금 조의금 이름 적는 방법

아키헌터 2023. 10. 25.

축의금 봉투 쓰는법 부의금 조의금 이름 적는 방법

돌연회 축의금을 얼마를 해야 할지 애매했던 적이 많으시죠? 상대방과의 관계나 친분 정도에 따라 서로 기분이 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준비하려면 얼마가 적당한지 조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친구 보통 내가 받은 만큼 돌려주는데 안 친하면 5만 원 친한 친구이면 10만 원 이상이 평균인것 같습니다. 물가상승률도 고려해봐야하는데요.만약 내가 너무 오래전 5만원을 받았다면 지금은 10만원 정도 하는 것이 좋고 관계가 소원해졌다면 받은 그대로 5만 원만 하면 되겠습니다.

초상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을 뜻하는 단어가 바로 부의입니다. 장례식장에서 애도를 뜻하는 단어로 부의, 근조, 조의, 추모, 추도, 애도, 위령, 초상, 전의, 향촉대 등의 단어를 사용하는데 부의금 봉투 쓰는 법에서 부의는 초상집에 부조로 보내는 돈이나 물품을 뜻합니다. 근조는 삼가 조상 해야하는

뜻으로 몸가짐을 가지런히 해 조문을 해야하는 뜻의 단어입니다.

조의는 조문을 하는 의식을 이야기하며, 추모는 죽은 사람을 사모해야하는 뜻입니다.

추도와 애도는 모두 사람의 죽음을 슬퍼해야하는 의미를 품고 있습니다. 상황에 따라서 여러 단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저희들이 흔하게 사용하는 말이 마로 부의와 근조입니다.

 



축의금 봉투 쓰는 방법

축의금 봉투에 성명과 소속을 쓰는 방법, 봉투 뒤쪽을 돌려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축의금 봉투 뒷면의 오른쪽 상단을 1번 왼쪽 하단을 2번으로 설명하고자 합니다. 1번 칸에는 본인의 소속회사, 모임, 동호회 등, 2번 칸에는 본인의 성함 그리고 직급을 쓰면 됩니다. 동명이인이 있을 경우를 대비하여 착오를 방지하기 위해 소속을 기입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법 위치는?

뒷면에는 보통 왼쪽 하단에 이름을 기입하는데 따로 관계가 있어서 소속을 적어야 할 땐 이름의 오른쪽에 적어주세요. 위에서 언급했던 봉투 종류 중에서 축결혼을 사용한다면 나의 친구이거나 나보다. 나이가 어리다면 괜찮지만 윗사람의 경우엔 축혼인, 축성혼을 이용해서 진행하시면 더 예의에 맞는 방법입니다. 정말 간단하게 기억만 하고 있다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는 꿀팁 전해드려요. 그렇다면 봉투는 어떠한 식으로 전달할까?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법을 활용해서 적은 뒤에 접수대에 가서 혼주나 신랑과 반갑게 인사한 후 봉투를 전달해줍니다.

 



안 친한 사람

다른 부서의 직장 동료나 애매한 학교 선후배, 거의 연락 없습니다.가 오랜만에 결혼 소식을 전하는 옛날 친구 등 친하다고 할 수 없는 정도면 3만 원에서 5만 원이 적당합니다. 3만 원을 내더라도 결혼식에 참석할 수 있다면 참석해주는 것이 더 결혼 당사자 입장에서는 고맙게 느낍니다. 하객 알바를 부르기도 하니 돈 내고 참석해준다면 금액이 얼마든 큰 상관은 없을 것입니다. 결혼을 하는 당사자 입장에서는 오랜만에 연락하는것도 꽤나 큰 용기가 필요했을 것입니다.

그냥 무시하기보다는 최소한의 성의라도 표시하는 것이 당사자 입장에서 고마움을 느낄 것이고 나중에라도 도움을 받을 일이 있을 때 나를 도와줄 것입니다. 다시 정리하자면 위의 내용을 기본적인 축의금 기준으로 생각하시고 상황에 맞게 조금씩 조정하시기 바랍니다.

축의금 봉투 뒷면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바로 축의금 봉투 이름 쓰는 법과 직장명을 어떠한 식으로 써야 하는지 일 텐데요. 봉투의 뒷면에 이름과 소속을 작성하는데 왼쪽 하단에 세로로 작성해 주면 됩니다. 저희들이 일반적으로 글을 적을 때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적지만 축의금 봉투 쓰는 법은 조금 다른데요. 왼쪽에 이름을 적고 오른쪽에 소속이나 관계를 적으면 됩니다. 대부분의 예식장을 가면 봉투가 준비되어 있고 앞면에는 축결혼이라는 문구가 기재되어 있지만 뒷면은 비어있기에 직접 작성을 해야 합니다.

축의금 봉투 작성방법.

결혼식 축의금 봉투 쓰는법 정리 액수에 대한 고민이 끝났다면 봉투에 쓰는 방법에는 축하문구를 작성하거나 뒷면에 이름이나 소속을 규명하는 경우가 많죠. 친구의 경우 요즘에는 정말 여러 디자인 봉투가 있어서 따로 준비하기도 하고, 축사를 짧게나마 적는 경우도 많이 있어요. 그렇다면 아래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봉투의 전면에는 축결혼, 축성전, 축화혼 같은 문구가 적혀져 나오는게 기본인데요. 식장에 봉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가장 많이 보여지는 문구들이 이거에요. 만약 집에서 따로 준비를 하거나 문구가 없는 봉투를 갖고 계씬다면 이 중에서 골라서 마음에 드는걸로 사용하시면 되요. 축화혼 반짝이는 혼인을 기원합니다.

축성전 성대한 의식을 축복합니다.

봉투 쓰는 법 및 문구

축하메모를 앞면에 쓰고 뒷면에는 축의금을 내는 사람의 성함이나 소속을 기재하시면 됩니다. 축하 문구

이의 첫 생일을 축복하며 언제나 건강하고 즐겁게 자라길 바랍니다. 이의 첫 돌을 축하드립니다. 언제나 사랑과 축복이 함께 하며 반짝이는 아이로 자라길 기원합니다. 누구보다.

댓글

💲 추천 글